문재인 "부동산 정책, 초유 상황에 실책…신뢰 잃어 뼈아프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63빌딩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5주년 기념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재임 당시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비록 사상 초유의 상황이었지만,문재인quot부동산정책초유상황에실책신뢰잃어뼈아프다 정책에서 실책과 실기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7일 문 전 대통령은 페이스북을 통해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최근 출간한 책 『부동산과 정치』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부동산 정책을 담당했던 저자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짚었다”며 “과오에 대한 솔직한 인정과 성찰을 담았고, 혹독한 자기비판도 담겨있다. 부동산 문제에 대한 그의 소회는 바로 나의 소회와 같다”고 적었다.
이어 문 전 대통령은 재임 당시 세계 경제와 이에 따른 부동산 시장 상황을 설명했다. 문 전 대통령은 “2019년 6월까지는 과잉 유동성으로 인한 세계적인 부동산 가격 급등 속에서 한국이 비교적 선방한 기간”이라며 “하지만 다음 해부터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세계 각국의 대대적인 돈 풀기와 초저금리로 과잉 유동성의 거품이 최고에 달하면서 부동산 가격 폭등이 더욱 가팔라졌고 한국도 예외가 아니었다”고 전했다.
그는 “부동산 정책 면에서 아쉬움이 컸던 것은 그 기간”이라고 했다. 정책 탓에 집값이 올라갔다기보단, 집값 상승기에 정부가 집권했기 때문에 오해를 받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다만 문 전 대통령은 “비록 사상 초유의 상황이었지만, 정책에서 실책과 실기도 있었다. 여론이나 포퓰리즘에 떠밀린 부분도 있었다. 무엇보다 정책의 신뢰를 잃었던 것이 뼈아프다”고 회고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제 부동산은 주거의 문제를 넘어 자산 불평등과 세대 격차의 문제로 커졌다. 그만큼 더 큰 안목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어떻게 평가하든 성찰과 교훈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국민의힘 김예령 대변인. 연합뉴스
이에 국민의힘은 “대통령이라면 국민에게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게 온당한데, 가장 큰 실책이었던 부동산 정책을 두고 개인 SNS에 구구절절 면피성 글을 올렸다”고 비판했다.
김예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문재인 전 대통령의 글이) 코로나19 상황으로 가격이 폭등해 한국도 예외가 아니었다는 식의 핑계 일색이었다”며 “통계 조작은 또 어떤가. 전무후무한 국가 통계 조작으로 이미 감사원은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 4명 전원에 대한 검찰 수사를 의뢰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지난달 문재인 정부 당시 청와대와 정부 부처 인사들이 통계 작성기관을 압박해 통계를 조작했다며 김 전 실장 등 22명을 통계법 위반과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등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责任编辑:커뮤니티)
[Top Envoy] Russian satellite help not likely priority for North Korea: Chun
120,000 more public homes to be supplied by this year
Do professors in Korea have too much power over students?
120,000 more public homes to be supplied by this year
김성원 여의도연구원장 "공천장사 지라시, 허위사실 유포로 고소"
- Foreign workers' deaths get weak sanctions
- Young swimmer enjoys self
- Asiana mishandled midair door
- ‘Do you know Dr. Hong?’ Moms say they wish they didn’t
- [Contribution] Why hope matters in climate crisis
- Opposition leader Lee attends arrest warrant hearing at Seoul court
- XG storms back with 'New DNA'
- [Herald Interview] Forever is not impossible: Oneus aspires to global reach with 'La Dolce Vita'
-
MBK chairman makes donation to promote Korean art at New York's Met
Seoul-based private equity firm MBK Partners Founder and Chairman Michael Byung-ju Kim has offered a ...[详细]
-
[Herald Interview] Forever is not impossible: Oneus aspires to global reach with 'La Dolce Vita'
Every Oneus album is a well-made package of music, story, artistry and performance. With its latest ...[详细]
-
S. Korean ambassador says stronger Russia
South Korea's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on Tuesday called the apparent strengthening of c ...[详细]
-
South Korean stocks finished slightly higher Wednesday following recent sharp losses amid concerns a ...[详细]
-
NCT127 will kick off its third international tour with concerts in Seoul next month, label SM Entert ...[详细]
-
S. Korean ambassador says stronger Russia
South Korea's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on Tuesday called the apparent strengthening of c ...[详细]
-
영장심사 마친 이재명, 묵묵부답26일 오후 영장실질심사를 마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기 위해 서초동 서울중앙지법 청사를 나서고 있다. 오전 10시부터 시작한 ...[详细]
-
Scholarships to begin in October for Ukrainian students in S. Korea
South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will offer all Ukrainian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c ...[详细]
-
Seoul subway workers vote for strike plan
The possibility of a strike became reality, as a majority of Seoul Metro union members voted for a g ...[详细]
-
HANGZHOU, China --South Korean fencer Oh Sang-uk claimed the gold medal in the men's individual sabr ...[详细]
S. Korean diplomat discusses NK human rights with US envoy
Revamped Genesis GV80 and first coupe sibling unveiled
- Reeling from election loss, ruling party picks new leader posts
- Orchestra composed of players with visual impairment to perform Oct. 4
- [Herald Interview] S&P economist tells Korea to brace for worst
- “김정은 두만강역 통해 귀국…조로관계 발전 새로운 장”
- [Our Museums] Discover wisdom of hanok at Eunpyeong History Hanok Museum
- Opposition leader Lee attends arrest warrant hearing at Seoul court
- [Herald Review] ‘Carmen’ redefines iconic femme fatale as stalking victim